권력 의지

권력 의지

  • 자 :프리드리히 니체
  • 출판사 :부글북스
  • 출판년 :2019-03-12
  • 공급사 :(주)북큐브네트웍스 (2022-04-13)
  • 대출 0/5 예약 0 누적대출 160 추천 0
  • 지원단말기 :PC/스마트기기
  • 듣기기능(TTS)지원(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
  • 신고하기
  • 대출하기 미리보기 추천하기 찜하기

『권력 의지』는 프리드리히 니체의 마지막 작품으로, 내용에 따라 모두 4개의 파트로 나눠져 있다. 니체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발표한 1883년부터 신경 쇠약으로 더 이상 글을 쓰지 못하게 된 1889년까지 메모한 노트 두 권 분량의 글을 그의 여동생 엘리자베트 푀르스터 니체(Elisabeth Forster-Nietzsche)와 페테르 가스트(Peter Gast)라는 필명으로 활동한 니체의 친구 하인리히 쾨젤리츠(Johann Heinrich Koselitz)가 글을 별도로 다듬지 않고 그대로 묶은 것이 이 책이다. 니체가 메모를 한 목적은 자신의 철학 세계를 최종적으로 정리하는 것이었으나, 그 뜻을 이룰 시간을 갖지 못한 탓에 글은 다소 투박한 면도 있다. 1901년에 처음 독일에서 발간되었을 때엔 483개 항이었으나, 1906년에 추가해 1067개의 항으로 늘어났다.



이 책은 가히 니체의 철학 작업의 정점이랄 수 있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이후에 나온 책들에 담긴 원리들을 추가적으로 다듬고 설명하는 내용이다. 사고의 측면에서 보면 『적그리스도』와 『선과 악을 넘어서』『도덕의 계보』『 우상의 황혼』 등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책만 읽어도 니체의 철학 세계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책의 내용은 한 세기도 더 지난 지금도 여전히 과격하고 어렵다. 우리의 사고 체계가 니체의 사상을 혁명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던 그때나 근본적으로 달라진 게 별로 없어서 그런 것이 아닐까. 한 예로, 니체는 도덕의 폐해를 강조하면서 도덕이나 진리, 정의 같은 것은 절대로 없으며 그 같은 개념의 뒤를 보면 어디나 어느 집단 또는 계급의 권력 의지가 작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여전히 우리사회에서 도덕이니 진리니, 정의니 하는 개념이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으니 말이다. 니체의 글을 차근차근 읽으면 머리가 끄덕여지는 대목이 아주 많다.



일반적으로 니체는 초인(超人) 개념을 내세우며 개인주의자의 도덕을 옹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집단에게 어울리는 이상이 있다는 점을 니체도 인정한다. 다만 인간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요소가 있는 기독교의 이상의 ‘횡포’에 종지부를 찍고, 다른 이상들, 다시 말해 인간을 보다 강하게 만들 수 있는 그런 이상들에게도 길을 열어주자는 것이 니체의 뜻이다.한마디로 요약하면, 니체가 말하는 권력 의지는 생명체가 스스로를 보존하고 유지하고 발달시키려는 의지이다. 다윈의 ‘생존 본능’보다, 쇼펜하우어의 ‘생의 의지’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생존본능은 권력 의지가 힘을 발휘한 결과이지 목적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니체에겐 이미 이뤄진상태를 말하는 ‘존재’보다 변화의 상태에 있는 ‘생성’이 훨씬 더 중요하다. 어떻게 보면 니체에게는루소가 말한 ‘자연’과 정반대의 의미로, 우리의 눈에 확인되는 그런 자연성을 인간이 회복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다고 할 수 있다.어쨌든 니체는 다방면으로 활기 넘쳐나는 그런 인간을 강조한다. 늘 생기발랄하게 펄떡이는 삶을 권한다.



행복을 추구하는 삶에 반대한다. 니체에겐 행복은 절대로 목표가 될 수 없는 그 무엇이다.확장이나 성장을 꾀하거나 저항에 맞서 성공할 때 느끼게 되는 권력 감정의 한 징후로 나타나는 것이 행복이라는 것이다. 니체가 볼 때, 쾌락과 고통은 행동 결정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는다. 쾌락과 고통은 동기가 아니라 수반되는 요소일 뿐이다.니체가 제시하는 권력 의지라는 개념에는 타고난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않으려 드는 인간에대한 안타까움이 담겨 있다. 『권력 의지』를 읽으면 자기 자신에 대한 확신과 긍지가 더욱 커질 것이고, 매사에 용기를 얻게 될 것이다. 이처럼 개인이 능력이 커졌다고 느끼도록 만드는 것,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하는 것, 니체에겐 바로 그런 것이 진리이다. 강력한 믿음, 긍정, 주도권, 긍지, 용기, 대담성 등. 우리가 삶을 아름답고 풍성하고 강하고 충만하게 이어가도록 돕는 모든 것이 진리인것이다.



니체의 권력 의지 개념은 그 후 여러 면으로 영향력을 발휘했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심리학이 있다. 초인 사상과 권력 의지가 나치에 의해 악용된 것도 빼놓을 수 없다.





책 속으로

“인류는 하나의 전체가 아니다. 인류는 상승하는 생명체들과 하강하는 생명체들이 풀 수 없게 서로 단단히 얽혀 있는 하나의 다양성이다. 인류는 성숙기와 고령기가 따르는 그런 젊음의 상태 같은 것에 대해선 전혀 모른다. 그러나 이 상태의 층(層)들은 서로 중첩되고 뒤섞여 있으며, 몇 천 년이지나면 지금 우리가 보는 인간들보다 훨씬 더 젊은 유형의 인간들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한편, 쇠퇴는 인간 역사의 모든 시기에 일어나고 있다. 찌꺼기와 쇠퇴하는 물질이 있는 곳마다, 그런 것들은 그 자체로 생명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시들고 쇠퇴하는 요소들은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용감하고 창의적인 사람들은 절대로 쾌락과 고통을 종국적인 문제로 여기지 않는다. 쾌락과 고통은 부수적인 조건일 뿐이다. 무엇인가를 이루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반드시 쾌락과 고통을 똑같이 예상해야 한다. 형이상학자들과 종교인들이 쾌락과 고통의 문제를 전면으로 부각시킨다는 사실은 그들 내면에 피로와 질병이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신호이다. 그들의 눈에는 도덕의 중요성까지도 오직 도덕이 고통을 없애는 데 근본적인 조건이라는 점에 있는 것으로 비친다.”



“나의 이론은 권력 의지가 제1의 원동력이고, 이 권력 의지에서 다른 모든 동기들이 나온다는 것이다. 개인의 “행복”(모든 살아 있는 유기체들이 이것을 추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을 권력으로 대체하면 많은 것이 아주 쉽게 이해된다. “개인은 권력을, 보다 큰 권력을 추구한다.” 행복은 권력이 획득되었다는 감정을 나타내는 하나의 징후이며, 차이에 대한 자각이다(개인이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이 추구하던 목표가 성취될 때 행복이 나타난다. 행복은 동기가 아니라 수반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모든 원동력은 권력 의지이며, 그 외에 육체적이거나 기능적이거나 정신적인 다른 힘은 전혀 없다는 것이 나의 이론이다.”



“이타적인 행위도 단지 이기주의의 한 종류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마침내 확인되고 있다. 또 사람이 자기 자신에게 사랑을 쏟는 정도가 그 사람의 개인적 능력과 인격의 크기를 보여주는 증거라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요약하면, 사람은 악해질수록 더 선해지며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이 없이는 자기 자신이 될 수 없다.”



“지금 주권자 노릇을 하고 있는 권력인 군집 본능은 귀족사회의 본능과 완전히 다른 그 무엇이다.그리고 총합의 가치는 총합을 이루고 있는 단위들의 가치에 좌우된다. 우리 사회학은 제로(0)들의총합인 군집 본능 외에 다른 본능에 대해선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 군집에서는 모든 제로가 “평등권”을 누리며, 제로가 되는 것이 도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바람직성’이라는 관점에서 “이러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거나 “이러해야 했었는데.”라는 식으로 하는 말에 숨은 뜻을 제대로 파악할 줄 아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그런 식의 의견 표현은 사물들의 전체 흐름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왜냐하면 따로 완전히 고립된 상태에 있는 것은 이 세상에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터무니없을 만큼 작은 것까지도 등에 대단히 큰 것을 짊어지고 있는 것이다. 당신의 사소한 불공정 행위에 미래의 본질 전체가 달려 있으며, 전체는 전체 중 어느 한 작은 부분을 표적으로 한 비판으로부터 절대로 자유로울 수 없다.”



“참으로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강한 자들은 언제나 약한 자들에, 체질적으로 훌륭한 자들은언제나 체질적으로 약한 자들에, 건강한 자들은 언제나 병들고 생리적으로 실패한 자들에 맞서 자신을 지켜야 한다. 만약에 우리가 현실로부터 도덕을 끌어낸다면, 그 도덕은 이런 내용일 것이다.‘평균적인 사람이 예외적인 사람보다 더 소중하고, 쇠퇴한 사람이 평범한 사람보다 더 소중하다. 따라서 비(非)존재를 추구하려는 의지가 생명을 추구하려는 의지보다 더 강하다.’”

--- 본문 중에서
지원단말기

PC : Window 7 OS 이상

스마트기기 : IOS 8.0 이상, Android 4.1 이상
  (play store 또는 app store를 통해 이용 가능)

전용단말기 : B-815, B-612만 지원 됩니다.
★찜 하기를 선택하면 ‘찜 한 도서’ 목록만 추려서 볼 수 있습니다.